제2금융권 은행 종류별 특징 – 저축은행, 캐피탈, 상호금융 차이점

은행은 다 똑같은 줄 알았어요. 그냥 이자 조금 더 주는 좋은 곳^^

최근 적금 금리를 비교하다가 ‘저축은행’이 눈에 들어왔습니다. 금리가 무려 연 5%에 달했죠. 혹해서 클릭했지만, ‘2금융권’이라는 말에 살짝 주저했습니다.
“여기 이용해도 괜찮은 걸까?” “혹시 신용등급에 영향 주는 건 아닐까?” “1금융이랑 뭐가 그렇게 다른 거지?”

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제2금융권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한 채 이자율만 보고 덜컥 가입하거나, 괜히 불안해서 기회를 놓치는 분들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.

그래서 오늘은 저축은행, 캐피탈, 상호금융 등 제2금융권 은행 종류별 특징과 차이점을 한눈에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.



구분1금융권2금융권
대표기관KB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 등저축은행, 캐피탈, 새마을금고 등
금리낮음높음 (대출금리·예금금리 모두)
신용 영향상대적으로 적음신용점수 변동 폭 클 수 있음
예금자 보호5천만원까지 동일일부는 별도 보호제도 적용

핵심 차이점은 안정성·이용 대상·금리 수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

1. 저축은행 – 고금리 예·적금, 중신용자 대출에 강점

  • 대표 브랜드 : SBI저축은행, OK저축은행, 웰컴저축은행 등
  • 특징
    • 예적금 금리가 높고, 중신용자 대상 대출에 강함
    • 영업점은 적지만 모바일 앱은 매우 활성화
  • 예금자 보호 : 1금융권과 마찬가지로 예금자보호공사를 통해 1억원까지 보호(25년 9월 1일 기준)

활용 Tip
저축은행 중앙회 홈페이지나 금리비교 앱을 통해 최고 금리 적금/예금 상품을 비교 후 가입하세요.
일부 상품은 앱 가입 전용으로 금리가 더 높은 경우도 많습니다.

2. 캐피탈 – 자동차 금융 특화, 대출 중심 금융사

  • 대표 브랜드 : 현대캐피탈, 롯데캐피탈, 하나캐피탈 등
  • 특징
    • 자동차 할부, 리스, 기업대출 등 특화
    • 예적금 상품은 없음. 철저한 대출 중심 운영
  • 예금자 보호 : 해당 없음 (예금상품이 없기 때문)

활용 Tip
중고차나 신차 구매 시, 금리 조건 비교 필수!
같은 차량이라도 제휴 캐피탈사, 이벤트 여부에 따라 총 납입금액이 크게 차이날 수 있습니다.

3. 상호금융 – 지역 기반, 조합원 중심 금융

  • 종류 : 새마을금고, 농협 조합, 신협, 수협, 산림조합 등
  • 특징
    • 지역 조합 기반으로 운영되며, 고객과의 유대감 높음
    • 예적금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고, 대출도 융통성이 있음
  • 예금자 보호
    • 신협 : 신협중앙회 보호
    • 새마을금고 : 자체 보호기구 (금융위 산하 아님)
    • 농·수협 : 일부는 일반 은행으로 예금자보호공사 소속

활용 Tip
해당 지역 조합에 조합원으로 가입하면 우대 금리 및 대출 혜택이 있습니다.
다만, 조합마다 조건이 다르니 미리 전화로 문의하는 게 좋습니다.

내가 이용해본 제2금융권 이야기

작년, 예적금 금리가 낮아져 갈 곳을 찾다가 웰컴저축은행에서 비대면 고금리 적금을 가입했습니다.(광고 X)
연 5%였고, 앱 가입 전용이라 금리도 높고 간편했죠. 다만, 처음엔 앱 조작이 불편했고, 이체할 때 1금융권보다 느린 감은 있었습니다.(느낌일수도…)

또, 가족이 중고차를 구매할 때 현대캐피탈 할부를 이용했는데, 딜러가 제시한 조건보다 직접 알아본 조건이 훨씬 낮은 금리여서 무조건 비교 필수라는 걸 느꼈습니다.

제2금융권 이용 시 주의할 점

  • 신용등급 영향
    대출을 받으면 1금융권보다 신용점수 변동이 클 수 있습니다.
    특히 연체 시 불이익이 크므로 주의하세요.
  • 영업점/고객센터 한계
    민원이 생기면 대응 속도나 처리 체계가 느린 경우도 많습니다.
  • 광고 문구에 현혹 금지!
    “누구나 대출 가능” 같은 문구에는 꼭 약관을 꼼꼼히 확인하고 판단하세요.

“금리 비교가 궁금하다면 금리비교 어플 후기도 참고하세요!”

댓글 남기기